본문 바로가기

728x90

자기계발

믿소사 기독교랑 나는 100억 광년쯤 떨어져있는 사이이긴 하지만, 우쨌든 기독교엔 믿음 소망 사랑이 어쩌구 그 중 짱은 사랑이고.. 뭐 그런 말이 있다는 건 안다. 근데, 가만 생각해보면 이것은 인간의 정신작용 중 3가지를 상징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믿음.. 영어 원문에는 Faith라고 나와있다. Belief나 Trust도 있는데 Faith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Faith는 다른 두 단어들과는 좀 뉘앙스가 다르다. 확실하고 양도 충분한 증거나 정보, 지식에 의한 믿음이라기 보다는 종교적인 믿음에 가깝다. 허나 어떤 정보, 지식이 Zero인 상태에서는 종교적인 믿음이고 뭐고도 생길 수 없다. 정보나 지식이 조금이라도 있어야 그런 것도 생기는 법. 그래서 나는 굳이 믿음을 Faith니 Belief니 T.. 더보기
목표와 목적 여기저기 찾아보면 목적은 더 궁극적인 것이고 목표는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사이 사이의 과정들의 지향점들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목적이 "부자가 되는 것" 이라고 한다면 목표는 "우선 종잣돈 XX원을 마련한다." 그 다음은 "OO에 투자하여 몇%의 수익을 올린다." 이런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구분 안한다. 나에게 목표와 목적은 동의어이다. 생각해보라. 목표와 목적에서 '목'자를 빼면 표와 적이 남는다. 그래.. 표적, 타겟(Target) 내가 맞추고자 하는 그게 바로 나 타겟이고, 목표고 목적이지 무슨 구분을 저렇게 헷갈리게 하는지.. 사람들이 목표라고 부르는 것을 나는 '과정' 혹은 '기착지', '정류장'이라고 부른다. 그게 더 확 와닿지 않나? 나만 그런가? '대자연이 나에게.. 더보기
조탁법(鳥啄法) - 건강 새 조(鳥)에 쫄 탁(啄) 새가 모이 쪼듯이 열손가락으로 두피를 두드리는 건강방법이다. 틈틈이 생각날 때마다 가볍게 손가락 끝으로 두피를 톡톡톡 두드리면 된다. 정수리(백회)부분만 두드리는 것이 아니라 제일 중요한 것이 뒷골부분과 귀 부분, 태양혈 부분이라고 한다. 중풍 예방에도 좋다고 하니 틈틈이 해보자. 1. 백회 - 정수리부근 2. 아문 - 뒷머리 중앙 아래 움푹 들어간 부분 천주 - 뒷통수 제비초리에서 약간 올라간 곳에서 목줄기 중심에서 좌우로 살짝 들어간 부분 풍지 - 천주 바깥 2~3cm 부근 옴폭 들어간 곳 3. 태양혈 - 눈꼬리 옆 관자놀이, 눈과 귀 사이 옴폭 들어간 곳 더보기
네빌 고다드 부활 中 초판1쇄발행 2009년 2월 23일 지은이 네빌 고다드 옮긴이 이상민 다듬은이 김의숙 발행처 서른세개의 계단 P248 욧헤바헤 (JOD HE VAU HE) ---여호와 JOD = I AM, 조건 지워지지 않은 의식 HE = 독생자, 하나의 욕망 혹은 하나의 마음 속의 상태 = 하나의 생각 = 명확한 정신적 그림 VAU = '소망하고 있는 의식인 생각하는 자(JOD)'를 '소망하는 상태인 관념(HE)'과 하나로 통합하고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는 자와 관념이 하나가 되는 행위 = 하나의 정신적인 상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 = 원하는 모습으로 자신을 선언하는 것 = 당신이 지금 당신의 목표로 생각했던 존재가 이미 되었다는 사실을 당신 자신에게 각인시키는 것 HE = 내적으로 일치가 이루어진 것이 바깥 세상으.. 더보기
의식 변화의 20가지 비결 출처 디바인 매트릭스 (Divine Matrix) - 그렉 브레이든 著 1. 디바인 매트릭스는 우주를 담고있는 그릇이자, 만물을 이어주는 다리이며, 우리가 창조한 것을 우리에게 비추어주는 거울이다. 2. 우리 세계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3. 우주의 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자신이 우주와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우주의 일부임을 깨달아야 한다. 4. 한때 하나였던 것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든 아니든 항상 서로 이어져 있다. 5. 우리가 의식을 집중하는 행위는 곧 우주를 변화시키는 행위이다. 의식이 우주를 빚는다. 6. 우리에게는 우리가 원하는 변화를 모두 일으킬 힘이 충분히 있다. 7. 우리 의식의 집중이 우리 세계의 현실이 된다. 8. 새로운 현실을 선택한다고 단순히 말하는 것만으로.. 더보기
패러다임 자기 생각과 행동을 결정 짓고 나아가 운명을 결정짓는 것은 자신의 패러다임이다. 패러다임이란 머릿속 관념들의 집합체이다. 이 패러다임은 어떻게 생성되나? 정보의 반복 이 패러다임은 어떻게 바꿀 수 있다. 역시 정보의 반복 -밥 프록터- 이 법칙(?)은 내가 오래전 자기계발이라는 것을 알기 훨씬 오래전 내가 고등학교 때 사실 활용했던 것이다. 나도 이것이 법칙인지 몰랐지. 나도 이걸 어떻게 생각해냈는지 모르겠다. 고등학교 3학년 때 2학년 때 일본 애니 본다고 팽팽 놀아서 떨어진 성적 다시 끌어올린다고 정말 열심히 공부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꼴랑 1년도 채 안남은 시점에서 시간을 아무리 아껴쓰고 헛시간을 낭비 안해도 역시 시간은 유한했다. 그러면 유한한 시간에 내가 어떻게 최대 효율을 냈을까? 나도 모.. 더보기

728x90